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프랑스 침공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또다시 실패한 프랑스군의 반격 시도 ==== 상술한 기갑군단들의 기동에 대해서도 프랑스군은 반격을 시도했으나 그 수준은 [[스당]]의 프랑스군보다 더 한심한 것이었다. 본래대로라면 프랑스 4경기병사단의 일부를 배속받은 '''5차량화보병사단''', 1경기병사단의 일부를 배속받은 '''18보병사단''', 그리고 '''6전차대대'''를 바탕으로 역습을 감행해야 했지만... 우선 제일 먼저 독일군과 접촉한 18보병사단은 몇 차례의 지엽적인 반격을 제외하면 상층부가 지시한 대대적인 역습을 전혀 시도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18보병사단은 11군단장 마르탱 장군이 정오에 사단 지휘소를 방문할 때까지 총 7시간 반동안 교두보가 2개나 형성되고 있던 것을 방치하고 있었다. 마르탱의 불호령을 맞고서야 8시간이나 지난 20시에 역습이 예정되었으나, 이것은 21시로 늦춰졌다가 보병들이 지체되어 끝내 역습 자체가 중단된다. 5월 13일 오전 2시, 5차량화보병사단은 독일군 보병들의 침투를 확인했으나, 5시간 반이 지난 이후에야 대응을 결심한다. 최종적으로는 오후 2시에 역습을 결정했으나 이것도 또 1시간이 연기되었다. 거기다 [[루프트바페]]의 공습으로 역습에 나선 보병대대가 격퇴당한다. 재역습은 오후 8시 15분으로 잡혔지만, 보병대 이동의 지연으로 9시, 10시 하염없이 미뤄진다. 이러더니 포병대가 야간을 핑계로 작전 불가를 주장하며 익일 아침까지 역습은 연기되었다. 다음날인 5월 14일, 2군단이 역습에 나서 오르바스티아 일대를 잠시 탈환하긴 했지만, 이미 독일군은 옹에 남부까지 진출한 뒤였다. 군단급 대응에 실패한 프랑스군은 야전군 예비대를 동원한 반격을 기도했다. 본래 1군 휘하 겜블루(Gembloux) 방면 예비대로 대기하고 있던 1흉갑기병사단이 디낭 방면으로 역습 명령을 하달받은 것이다. 하지만 5월 14일 오후 2시에 이르러서야 해당 명령이 전달되었고, 2시간이 지난 뒤에 사단 선두 부대가 기동에 나섰다. 그리고 주둔지 35km 북쪽의 플라비용(Flavion) 북부까지 5시간이 지나서야 도착할 수 있었다.[* 만약 1흉갑기병사단이 조금만 더 기동력을 발휘했다면 [[에르빈 롬멜|롬멜]]이 이끄는 7기갑사단의 기갑부대를 모조리 쓸어버릴 수 있는 기회가 이 시점에 주어졌다. 1흉갑기병사단이 숙영지를 펼친 곳에서 고작 5km 떨어진 곳에 7기갑사단의 전차연대가 숙영지를 짰던 것이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800><tablebordercolor=#536349,#333333><tablebgcolor=white,#1f2023><nopad> [[파일:Battle_of_Flavion_(15_May_1940).png|width=100%]] || ||<rowbgcolor=#536349,#222222><rowcolor=white> 플라비용 전차전 전개도 || 1흉갑기병사단의 굼뜬 기동의 원인으로는 우선 B1 전차의 짧은 항속 거리가 문제였다. 그리고 연료 수송 부대가 하필 부대 후미에 처져 있다가 헤메는 통에 보급을 받지 못한 데다가 피난길과 겹치기까지 했기 때문에 1흉갑기병사단은 절호의 호기를 놓치고 말았다. 다음날 아침인 5월 15일 루프트바페의 공습으로 상당수의 연료 차량이 망실되면서 사단의 이동은 더욱 늦어졌고, 이 여파로 제 1흉갑기갑사단 병력 중 보병대대와 포병 연대는 플라비옹에 도착조차 하지 못한 상태였다. 앞선 공습으로 보급부대의 일부만 간신히 플라비옹 북서쪽 9km 지점의 오레(Oret)에 15일 오전 도착하여 전차들에 연료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바로 그때 독일군 전차 부대가 밤새도록 기동해 간신히 도착한 제 1흉갑기병사단을 습격했다. 독일군 습격의 선두에 선 것은 롬멜이 이끄는 7기갑사단이었다. 5월 15일 오전 8시 제 7기갑사단 25전차연대가 프랑스 28전차대대와 교전하며 플라비용 전차전이 개시되었다. 25전차연대의 첫 공격을 28전차대대는 저지했지만 9시 30분 독일군의 2차 공격이 시작된지 얼마되지 않아 연료와 전차 포탑 배터리가 바닥나버렸고 1흉갑기갑사단 28전차대대 병사들은 손으로 포탑을 돌려가면서 독일군과 맞서 싸웠다. 7기갑사단이 앉은뱅이가 되버린 28전차대대를 우회하던 오전 10시경 1흉갑기갑사단 26전차대대가 도착해 7기갑사단을 공격했지만 여기도 곧 연료 부족 문제로 주저앉아버렸다. 독일군과의 교전 소식을 들은 프랑스군 37전차대대는 정오경 급히 급유를 실시하고 전장에 가세했지만 이 시점에선 5기갑사단 예하 31전차연대가 전장에 도착하면서 에르빈 롬멜은 이들에게 구역을 인계하고 있었다. 호트는 돌파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롬멜에게 구역을 인계한 이후 프랑스군 제4 북아프리카 보병사단이 방어 중이던 필립빌로 이동할 것을 명령했다. 오후가 되자 대부분 7기갑사단 25전차연대는 전장을 31기갑연대에 인계하였고 7기갑사단과 5기갑사단의 포병부대와 루프트바페가 지원에 나섰다. 7기갑사단과 5기갑사단이 보유했던 전차들 대부분은 프랑스군의 르노 B1bis 전차에 흡집도 내지 못했고 속절없이 터져나갔지만 무전기를 활용해 연료부족으로 퍼져버린 프랑스군 전차들을 각개 격파하기 시작했다. 독일군 전차들은 무전기로 각자의 위치를 조정하며 사방에서 프랑스군 전차들에게 포격을 가했고 연료부족으로 기동이 크게 제한된 프랑스군은 샌드백마냥 독일군의 협공에 노출되었다. 여기에 제 5기갑사단과 7기갑사단의 포병부대들이 합류했다. 독일군은 상냥한 도어노커 [[PaK 36]]뿐만 아니라 [[88mm 대공포]]까지 끌고와 주저앉은 프랑스군 전차들을 향해 포격을 퍼부었고 독일 공군의 슈투카도 오후 늦게 가세했다. 결국 1흉갑기병사단은 공격을 감당하지 못하고 16시경 후퇴하며 독일군의 승리로 전투는 종료되었다. [* [[http://ww2f.com/threads/battle-of-flavion.63737/]]] 비슷한 시각 전장을 인계하고 떠난 7기갑사단은 제 4북아프리카 보병사단을 기습했고 예상치 못한 기습을 받은 프랑스군은 후퇴했다. 기습으로 인해 적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탓에 프랑스군은 제1 흉갑기병사단이 독일군 2개 기갑사단과 맞아 싸웠다고 기록했지만 전술한 대로 플라비용 전차전에서 상대한 독일군은 7기갑사단의 25전차연대와 5기갑사단의 31전차연대 총 2개 전차연대였다. 사료마다 다르지만 플라비용 전차전 당시 제1 흉갑기병사단은 총 140여대의 전차를 투입했고 그중 63대(지휘용 전차 2대 제외)는 독일군에겐 사신격이었던 르노B1-bis 전차였다. 독일군 제 7기갑사단과 제 5기갑사단은 대략 60여대의 전차가 파괴되었지만 1흉갑기병사단은 르노 B1 43대를 포함한 60여대의 전차를 상실하며 전멸했다. 프랑스군의 전차는 전장에 투입된 독일군 전차에 비해 방호력과 관통력 모두 압도적으로 우수했지만 무전기의 부재와 심각한 항속 거리가 발목을 잡았고 독일군은 이러한 프랑스군의 약점을 파고들어 각개격파해버렸다. 결국 플라비용 전차전에서 승리한 독일군은 프랑스군 종심 깊숙히 파고들수 있게 되었고 16일 재정비를 마친 제 15기갑군단은 프랑스 제9군 방어선을 조각내며 돌파했다.[* 후술하겠지만 독일군의 너무나 놀라운 성과에 당황한 히틀러에 의해 잠시 정지된 상태였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